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장애 진단 실태를 파악하고, 학습장애 개념, 정의, 진단 기준 및 진단·평가에 관한 선행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전국 172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평가 팀장 또는 진단·평가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일인이 학습장애 진단에 관한 설문에 응답하였다. 설문지 연구와 국내 문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내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에 관한 다음의 8개 이슈를 도출하고, 각 이슈별 논의를 통한 이론과 국내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을 제안하였다: (1) 학습장애 정의의 구성 요소, (2) 학습장애 하위 유형에 해당하는 문제 영역, (3) 학습장애 위험군 학생의 선별 과정에서 확인해야하는 사항, (4) 학습장애 적격성 판별을 할때 확인해야하는 사항, (5) 낮은 학업성취도의 조작적 정의, (6) 지능 검사 결과의 기준, (7)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의 기준, (8) 배제 요인에서의 사회, 경제, 문화적 문제의 중복성 인정. 끝으로 본 연구 결과를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