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행 학습장애 진단 실태 및 이론과 현장 실제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 그리고 판별 모델
- ㆍ 저자명
- 김애화,김의정
- ㆍ 간행물명
- 한국학습장애학회 학술대회지
- ㆍ 권/호정보
- 2013년|(통권1호)|pp.29-54 (26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학습장애학회|한국
- ㆍ 파일정보
- 학술대회지|KOR| 이미지(0.65MB)
- ㆍ 주제분야
- 특수교육학
학습장애라는 용어가 소개된 지 50여년이 지났고, 국내에서 학습장애가 특수교육대상자 선정 기준에 포함된 지도 20여년이 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내외를 막론하고 최선의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 모델을 정립하고자하는 노력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더라도 2004년 한국학습장애학회가 발족된 이래로 국내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 모델이라는 주제로 심포지엄이 수차례 열렸고, 학회 차원에서 교육과학기술부(2010)에서 제시한 ‘학습장애학생 선정 조건 및 절차’를 수정하여 ‘한국형 학습장애 진단․판별 모형(안)’을 제출한 바 있다. 또한 국내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 모델을 제안하기 위해 여러 전문가들의 노력이 이루어져 왔는데, 학습장애 개념 및 정의에 대한 연구(예, 김동일, 이일화, 2004; 김애화, 김의정, 2012; 김윤옥, 봉원용, 2004), 학습장애 판별 모델에 대한 연구(김애화, 김의정, 유현실, 2004; 김윤옥, 봉원용, 2004; 김자경, 2001; 정대영, 2007) 등이 그 예에 해당한다. 그러나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 모델이 시대나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어 국내에서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 모델에 대한 합의점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전국 특수교육지원센터의 학습장애 진단 실태 Ⅲ. 학습장애 정의 및 판별에 관한 국내 선행 문헌 분석 Ⅳ. 이론적 근거 및 현장 실태 결과 분석을 통한 이론과 현장에 적합한 학습장애 정의와 판별 모델 제안 사항 Ⅴ. 결론 및 논의